정부가 한전이 독점하고 있는 송전망 사업을 민간에 개방한다는 소식에 전선 관련주 제룡산업, 광명전기, LS전선아시아 등 주가가 급등하면서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상승할 모멘텀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기본적 분석과 정부정책, M&A, CAPEX, R&D가 필요하며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해 비용을 절감, 가격을 인상, 신규 시장에 진출, 기존 시장에서 매출 증가, 적자 사업을 중단 및 매각할 경우입니다.
한전 독점 송전망 민간 개방은 신규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며, 정부정책의 모멘텀이 작용하여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산업통산자원부는 12월 초 전력망 사업 민간 개방 소식을 '전력계통 혁신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전력기기는 전력을 생산하고 전송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비와 부품을 말하며 전 세계적으로 경제 성장으로 인해 전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산업입ㄴ비다. 특히 아시아 지역은 경제 성장과 함께 전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기기 수요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제룡산업
제룡산업은 송전자재, 배전자재, 지중선자재, 통신기자재, 철도자재를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업으로 사업부문은 송/배전, 통신 및 철도전차선 금구류의 금속제품부문과 가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주력제품 : 통신주, 지중케이보호판, 합성수지
제룡산업 재무는 흑자경영은 유지하고 있으나 전년 대비 실적은 하회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2023년 5월 최고점 5,260원을 기록하고 주가는 하락하고 있었습니다.
1-1 기술적 분석
제룡산업은 상한가를 기록하면서 일목균형표 전환선, 기준선과 이동평균선 50, 150, 200일선을 한 번에 돌파한 힘은 매우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다만 정배열이 아직 아니기에 추세적 상승력은 부족할 수 있습니다.
2. 광명전기
광명전기는 일반용 전기 조명장치 제조기업으로 한국전력공사의 송전 및 배전공사와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에 따른 태양광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광명전기는 최근 삼성전자, 삼성물산 수배전반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제무는 연간으로 살펴보면 큰 변동 없이 흑자경영을 하고 있습니다.
2-1 기술적 분석
광명전기도 제룡산업처럼 일목균형표 전환선, 기준선과 이동평균선 50, 150, 200일선을 한 번에 돌파한 힘은 긍정적이지만 위꼬리가 형성된 것이 아쉽습니다.
3. LS전선아시아
LS전선아시아는 LS전선의 자회사로 베트남과 미얀마에 생산법인을 보유한 중간지주회사입니다. 베트남 전력시장의 성장과 도시화율이 높아질수록 전력케이블의 지중화 사업과 고부가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 속에 동사는 베트남 풍력시장을 선점하여 향후 고부가 시장의 확대로 인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LS전선아시아는 전년 대비 매출액은 감소했지만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3-1 기술적 분석
LS전선아시아는 제룡산업, 광명전기와 틀린 점은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을 형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목균형표 전환선이 기준선을 돌파한 것이 매우 긍정적입니다.
일목균형표 전환선이 기준선의 지지를 받는다면 추세적으로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투자란 시간으로 치환되어야 합니다. 잠시 시간이 되시면 전설 투자자들의 철학을 엿보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위 내용은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지만 투자의 절대적 지표는 아니며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원하며 투자 판단 및 결정에 따라 투자 결과는 투자자에 귀속됩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현대일렉트릭 대형 수주 공시액 급증에 따른 주가 전망 (0) | 2023.12.01 |
---|---|
흑자전환 성공과 OLED 투자를 확대하는 선익시스템 주가 전망 (2) | 2023.11.26 |
전기차 전환이 가져올 변화 (산업 분석) (2) | 2023.11.24 |
전설적인 투자자들이 전하는 투자 철학 (0) | 2023.11.21 |
TSMC가 탐내는 레이저 리플로우 장비를 보유한 프로텍 주가 전망 (0) | 2023.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