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SK하이닉스에 대규모 eSSD 장기 공급에 요청에 따라 삼화전기 eSSD 핵심부품 S-CAP 관심이 집중되는 만큼 삼화전기의 비밀을 파헤쳐 봅시다.
1. eSSD란 무엇인가?
SSD(Solid State Drive)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이며 기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비교하여 소음이 적고, 속도가 빠르며, 전력 소비량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SSD는 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SSD장점
- 빠른 속도, 낮은 소음, 낮은 전력소비, 내구성
SSD단점
- 가격, 데이터가 손상될 경우 복귀가 어려울 수 있음
테슬라가 기업용 eSSD(Enterprise Solid State Drive)를 대규모로 도입하려는 것은 단순히 저장 공간을 늘리기 위한 것이 아니며 테슬라의 사업확장과 기술 개발에 있어 eSSD가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해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하기에 eSSD는 이러한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
HDD에 비해 훨씬 빠른 데이터 액세스 속도를 제공하여 데어티 센터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산 라인 자동화에 따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테슬라는 AI개발, 데이터센터 성능 향상, 전기차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으로 보입니다.
eSSD가 테슬라에 가져다주는 주요 이점
-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대용량 저장 공간, 높은 내구성, 낮은 전력 소비
SSD와 eSSD는 모두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저장 장치이지만 사용 환경과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인 사용자는 SSD를, 기업에서는 높은 성능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eSSD를 사용합니다.
2. S-CAP란 무엇인가?
S-CAP은 eSSD에 들어가는 부품으로 S-CAP은 전해 캐패시터에 존용 홀더를 결합하여 SSD 내에 실장이 됩니다. 장전 등으로 전력이 끊어졌을 때에 SSD는 전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캐패시터가 필요한데, SSD 내에 장착된 S-CAP이 정전 시 작동을 하여 전력을 유지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SSD를 보호할 수 있게 됩니다.

하이브리드 CAP는 전해질에 전도성 고분자와 전해액을 동시에 적용한 제품으로 CAP은 기존 전해 캐패시터 대비 흐르는 교류전류가 적게 발생하여 내구성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하며 로봇, 5G, 통신장비, 고성능 가전제품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도 관련 수요가 증대되는 제품입니다.
3. 삼화전기 투자포인트
AI 산업이 태동하고 있으며 AI 학습 및 추론 작업을 위해 AI 서버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GPU 제조사인 엔비디아의 시장 내 위상은 탄탄해지면서 위탁제조해 주는 TSMC와 관련 HBM, eSSD를 대부분 납품하고 있는 SK하이닉스의 경쟁력도 함께 부각되었습니다.
빅테크 업체들의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대한 강한 의지를 확인해 주고 있으며 현 시점이 AI CAPEX 진행에 있어 수익성보다는 선투자를 통한 인프라 구축과 시장 선점이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S-CAP
다만 삼화전기 메이저 eSSD 업체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S-CAP 제품을 납품 중이고 향후 그 물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삼화전기 S-CAP 제품 매출액은 2023년 연간 60억원이었으나 2024년 연간 약 200억 원을 전망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약 300억 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CAP
전장용에서 많이 요구되는 전압 영역인 35V~80V에 적합한 캐패시터 제품으로 전장부품사, 완성차 고객들의 주문이 견조한 상황이며 삼화전기 하이브리드 CAP 매출 비중은 2023년 1.2% 불과했으나 2024년에서 3.3% 2025년에는 7.0% 목표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4년 큰 폭의 실적 개선을 기대되는 가운데 연간기준 영업이익은 300억원 내외로 전망되며 S-CAP, 하이브리드 CAP 제품 등으로 인해 제품믹스 개선이 뚜렷할 전망입니다.
주담 통화
SK이노베이션에서 2025년에 액침냉각을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했는데 2025년 당사가 실질적인 납품 및 실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에 대해 현재 안정성 테스트가 진행 중이며 계획했던 것처럼 2024년은 계속 테스트를 할 예정이며 상용화가 된다면 우리 회사 제품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해주었습니다.
2024년 11월 10~14일 중 3Q24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드라마틱한 성장은 아니지만 전분기 대비 성장하고 있고 걱정은 없다고 전해주었습니다.
현재 주가의 흐름은 하락 추세이지만 실적발표 기준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하반기 주목해야 할 화장품 트렌드 TOP3 : 스킨케어 간소화, 지속가능성, 퍼스널 컬러 (3) | 2024.11.19 |
---|---|
아이스크림미디어, 의미있는 기관 수급...반등 신호탄? (0) | 2024.11.03 |
식음료품 기업 실적 예상과 해외 시장 진출의 중요성 (Feat 삼양식품) (0) | 2024.06.15 |
명확한 실적 개선과 역대 최대 실적을 향한 이수페타시스 주가 전망 (0) | 2024.03.09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최대 수혜주 기아 주가 전망 (0) | 2024.03.02 |
댓글